YTN 사이언스

위로 가기

[현장점검] 지하철역 물막이판 미설치 '여전'..."민간 출구는 강제 못 해"

2023년 06월 15일 11시 08분
[앵커]
장마철을 앞두고, YTN이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현장을 찾아 폭우 대비 상황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난해 폭우에 곳곳이 물에 잠겨 퇴근길 혼란을 빚은 서울 지하철을 찾았습니다.

물막이판이 없는 출구가 여전히 있었는데, 서울교통공사는 민간이 관리하는 곳이라며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습니다.

유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누런 흙탕물이 계단을 타고 쏟아져 내립니다.

건물 천장 군데군데 뚫린 구멍을 통해서도 가는 물줄기가 새어 나옵니다.

지난해 8월, 폭우로 침수됐던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의 모습입니다.

이곳 이수역엔 지난해에도 물막이판 하나가 있었는데요, 시간당 최대 140mm를 넘는 강수량을 버티지 못하고 물에 잠겼습니다.

올해는 하나를 추가로 설치해 80cm 높이까지 차오르는 빗물을 막을 수 있게 됐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이 밖에도 올해 들어 서울 지하철역 330여 곳 출구 대부분에서 물막이판 설치를 마쳤습니다.

역사 안으로 빗물이 유입하는 걸 막아줘 침수를 방지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YTN 취재결과, 지하철 2호선 역삼역 6번 출구와 4호선 서울역 10번, 11번 출구 등 물막이판이 아직 없는 곳도 10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간 건물이 관리하는 출구라 비용을 들여 물막이판을 설치해 달라고 요청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어쩔 도리가 없다는 게 서울교통공사 측 입장입니다.

[서울 지하철역 관계자 : 그 건물에서 통로를 관리하니까, 그쪽에서 (물막이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저희가 이야기는 드려놨거든요, 근데 따로 설치를 안 한 거 같아요.]

출구 여러 곳을 틀어막더라도, 한곳만 뚫리면 역사 전체가 잠길 수 있다 보니, 시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유영수 / 서울 잠실동 : 내가 미처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어쩌나 불안감도 들죠. 비용이 좀 들어가더라도 지자체에서 대책을 마련해주시는 것이 낫지 않나.]

지하철역은 재난 상황에서 대피소로 활용될 정도로 공공성이 큰 만큼, 관리주체와 무관하게 물막이판 같은 안전장치는 의무적으로 두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공하성 /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 지하 역사 같은 경우는 공공재 성격을 띠기 때문에 설치 안 된 부분이 있다면 의무적으로 차수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강제할 필요성도 있겠습니다.]

또, 하나에 150만 원에서 200만 원쯤 하는 물막이판 설치 비용 일부를 정부와 지자체가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YTN 유서현입니다.

촬영기자;홍덕태 이근혁







YTN 유서현 (ryush@ytn.co.kr)

거의모든것의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