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이언스

위로 가기

[TODAY인] 폭우 뒤 모기 개체 급증…모기 매개 감염병 대응법은?

2025년 08월 21일 16시 13분
■ 백순영 /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앵커]
교수님, 이번 여름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사실상 모기가 많이 없었잖아요.
그런데 최근 폭우가 빈번해지면서 모기가 급증한 것 같아요?

[앵커]
모기에 물려 걸리는 감염병, 이른바 모기 매개 감염병에는 어떤 것이 있는 건지요?

[앵커]
말라리아도 모기 매개 감염병이라고 말씀했는데, 최근 질병청이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어요.
말라리아가 위험한 감염병인가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앵커]
폭우로 상하수도 시설이 범람하거나 오염된 물이 유입되면 장티푸스와 세균성 이질과 같은 감염병이 확산할 수 있잖아요.
혹시라도 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하고, 예방법은 어떤 게 있을까요?

[앵커]
대구에서는 올해 첫 혈소판감소증후군 사망자가 발생해 당국이 역학조사에 착수했는데요.
다소 이름도 어려운데, 어떤 질환인가요? 또 예방 백신은 없는 건지요?

[앵커]
그런가 하면 코로나 입원 환자가 6주째 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고령층 등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 같은데요?







거의모든것의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