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훈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장
[앵커]
먼저, 소버린 AI는 어떤 개념인가요?
[앵커]
소버린 AI는 왜 지금 이 시점에서 특히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걸까요?
[앵커]
앞서 소버린 AI의 개념과 시급성에 대해 말씀해 주셨는데요, 그렇다면 소버린 AI가 지키려는 AI 주권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나요?
[앵커]
해외에서는 소버린 AI를 어떤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나요? 주요 국가들의 사례와 특징을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앵커]
이번에 ‘AI 국가대표’ 후보 5개 팀을 선정했는데요. 선정된 팀들은 각각 어떤 기술적 특성과 강점을 갖고 있나요?
[앵커]
AI 국가대표로 후보로 선정된 팀은 어떤 지원과 혜택을 받게 되나요? 그리고 27년도에 최종 2개 팀이 뽑히는데 그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앵커]
그러면, AI 국가대표 후보 팀이 만들고 있는 AI 모델들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앵커]
끝으로, 한국형 소버린 AI가 글로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앞으로 어떤 전략과 비전이 필요할까요? 민간과 정부의 협력 측면에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YTN 사이언스 박기현 (risewise@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