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이언스

위로 가기

충남형 탄소중립 선도 정책, 국제사회 확산

2025년 09월 03일 11시 22분
[앵커]
기후변화 위기 속에 탄소중립은 더는 선택이 아닌 시대적 과제가 됐습니다.

온실가스 감축 등 다양한 실천 사례를 공유하고,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해나가기 위한 학술회의가 충남 보령에서 열렸습니다.

이상곤 기자입니다.

[기자]
전국 석탄 화력발전소의 절반이 몰려 있고, 석유화학단지와 제철소 등이 밀집해 있는 충청남도.

'온실가스 배출 전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지만, 3년 전 '탄소중립 경제특별도'를 선언한 이후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기반시설 확대와 저탄소산업 육성 등을 통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다회용품 사용을 의무화하며 탄소중립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런 충남의 실천 사례 등 전 세계 탄소중립 경험을 공유하고, 국제사회로의 확산을 모색하기 위한 학술회의가 충남 보령에서 열렸습니다.

충남에 있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사례와 추진 전략들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고, 각 분야 전문가들이 나와 구체적인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행사를 함께 개최한 국제 비영리 환경단체는 충남의 탄소중립 실천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마이크 피어스 / 클라이밋 사무총장: 충남에 와서 이 지역의 노력을 지원하고 탄소중립을 향한 활동을 함께 추진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우리는 이를 국제사회와 더욱 폭넓게 공유해나가길 기대합니다.]

개막식에서는 집중호우 때마다 금강 하구로 떠내려오는 나무와 풀 등을 화석연료 대체품으로 만들어 발전소에 공급하기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됐습니다.

전국 첫 사례로, 오는 2027년 자원순환센터가 건립되면 매년 온실가스 7천 톤이 감축될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태흠 / 충남도지사: 석탄 화력 폐지 지역 지원 특별법이 연내 제정되도록 노력할 것이고, 해상 풍력, 수소 생태계 구축 등 신재생에너지 기반시설 확대에도 주력해서 에너지 전환이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충남도는 정부 계획보다 5년 더 앞선 2045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속에 지자체가 온실가스 감축 사례를 공유하고 국제사회와 협력 관계를 넓혀 가며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

YTN 이상곤입니다.


영상기자 : 장영한








YTN 이상곤 (sklee1@ytn.co.kr)

거의모든것의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