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내 연구진이 초소형 로봇을 이용해 소금쟁이의 수면 위 이동 원리를 입증했습니다.
다리 끝의 부채꼴 구조가 로봇 추진력의 핵심인데, 기존 수상 로봇보다 빠른 기동성을 보였습니다.
이성규 기자입니다.
[기자]
소금쟁이를 닮은 무게 0.23g의 초소형 로봇입니다.
라고벨리아, 즉 부채 다리 소금쟁이를 모사했는데 물 위에서 유연하고 민첩하게 움직입니다.
라고벨리아는 다리 끝의 부채꼴 구조를 순간적으로 펼치면서 거친 물살에서도 추진력을 얻는데 그동안 구체적인 작용 원리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진은 21개 끈 형태의 인공 털로 부채꼴 구조를 제작해 실제 라고벨리아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초소형 로봇을 제작했습니다.
연구결과 끈 형태의 털이 물속에서 펼쳐져 큰 추진력을 얻고 물 위로 들리면 순간적으로 접혀 표면장력 저항을 줄인다는 점을 입증했습니다.
[고제성 /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수 : 펼쳐지는 탄성력, 그다음에 뺄 때는 우리가 아까 봤던 표면장력이 있어요. 그래서 그 힘을, 균형을 잘 맞추면 물에 들어가면 탄성력 때문에 펼쳐지고 빼면 표면장력 때문에 오므라드는….]
이는 소금쟁이가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포식자 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원리입니다.
부채꼴 구조를 이용해 소금쟁이 로봇은 기존의 수상 로봇보다 더 빠른 기동성을 보였습니다.
연구진은 소금쟁이 로봇이 앞으로 수질 탐사나 수중 환경 모니터링, 재난 현장 수색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 표지 논문으로 실렸습니다.
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
촬영기자 : 정철우
영상편집 : 황유민
YTN 이성규 (sklee95@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