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사이언스

위로 가기

금융당국, 보이스피싱 AI 플랫폼 구축..."금융·통신·수사 정보 한눈에"

2025년 07월 28일 16시 02분
금융당국이 올해 안에 보이스피싱 범죄와 관련된 금융·통신·수사 정보를 공유하는 AI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서울 여의도 금투센터에서 경찰청, 금융감독원, 피해자·현장 전문가 등과 함께 '보이스피싱 근절 현장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습니다.

현재 금융회사가 개별적으로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를 탐지하고 있지만, 금융회사마다 편차가 크고 정보공유도 바로 이뤄지지 않아 효과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금융당국은 보이스피싱 범죄에 신속히 대응하고 범죄수법을 사전 탐지하기 위해 AI 플랫폼에서 '긴급공유 필요정보'와 'AI 분석정보'를 공유하기로 했습니다.

긴급공유 필요 정보는 피해의심자 연락처와 같이 보이스피싱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공유가 필요한 정보로, 가공 없이 필요한 기관에 전달돼 범죄자 계좌 지급 정지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AI 분석정보는 수많은 금융회사 계좌 가운데 보이스피싱 의심 계좌의 특징을 분석해 범죄 계좌를 미리 식별하고 차단하는 데 이용될 예정입니다.

금융당국은 이를 바탕으로 제2금융권도 범죄계좌를 지급정지할 수 있어 잠재적인 피해를 막고 제2금융권으로 범죄가 몰리는 현상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또, 지금은 범죄계좌를 확인하더라도 개별적으로 협조를 요청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금융사와 통신사, 수사기관의 업무협조와 정보교류도 더 원활히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해 예방·차단·구제·홍보 단계마다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낼 정책과제를 끈질기게 고민하겠다며, 필요하다면 내실 있는 정보 공유를 위해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YTN 손효정 (sonhj0715@ytn.co.kr)

거의모든것의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