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에 대한 시상식이 열리는 날인데요,
올해는 한국인 수상자가 나왔다는 점도 의미가 깊지만, 인공지능 분야 수상자가 여럿 배출된 점도 주목할 만한 특징입니다.
이런 가운데 노벨상 수상자들이 입을 모아,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초지능'을 구현하는 인공지능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인간 도움 없이 학습하고, 목표를 설정해 실행할 수 있는 '초인공지능'이 예상보다 빨리 등장할 것으로 보기도 했는데요,
어떤 이야기들이 오갔는지 직접 보시겠습니다.
현지시각 지난 7일 스웨덴 한림원입니다.
딥러닝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프리 힌튼 교수와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 등 올해 노벨 물리학·화학·경제학상 수상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는데요,
한 기자가 초지능에 대한 수상자들의 의견을 묻자 이들이 내놓은 답변입니다.
[제프리 힌튼 /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 : (초인공지능이) 과거엔 먼 미래에 나올 것으로 생각됐는데, 최근의 발전 속도로 보면 가까운 미래에 나올 것 같습니다. 저는 5∼20년, 데미스는 10년 내 나올 것으로 봅니다. 초지능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데미스 허사비스 / 구글 딥마인드 CEO : 몇 년 전 논의한 규제가 지금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가 정부와 사회에 권고하는 건 빠르고 유연한 규제입니다. 이미 존재하는 규제 시스템, 예컨대 의료·교통 규제를 기반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규제를 신속히 조정해야 합니다.]
노벨상 수상자들은 초지능을 가진 인공지능이 예상보다 더 빨리 개발될 것이라며 '통제 불능'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규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건데요.
특히 힌튼 교수는 AI의 단기위험 중 하나는 치명적인 자율 무기 개발이라며, 군사적 목적으로 AI를 사용할 경우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현재도 심각한 수준인 불평등을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대런 애스모글루 / MIT 교수 : AI를 개발도상국을 돕거나 뒤처지는 근로자나 학생을 지원하는 정보 기술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AI가 소수의 사람들과 몇몇 나라의 손에 집중되어 있는 지금의 상황은 불평등을 심화시킬 위험이 크다고 우려합니다.]
인공지능은 인류에 막대한 기회를 제공하겠지만, 초지능 인공지능의 출현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올해 수상자들의 시각으로 나타났는데요.
기술이 가져올 변화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세계 각국의 협력과 책임감 있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영상편집 : 김영환
YTN 사이언스 최소라 (csr73@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