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주 놓쳐서는 안될 YTN 사이언스 프로그램을 엄선해 알려드리는 '사이언스 프리뷰' 시간입니다.
오늘은 재미있는 수학 특강 '팝콘 수다학'과 청년창업가의 성공기를 들어보는 '청년창업, 런웨이', 쉽고 유쾌한 과학강연 프로그램 '사과나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승민 리포터와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앵커]
'팝콘, 수다학' 이번주는 어떤 분이 강연하시나요?
[인터뷰]
한서대 수학과 이광연 교수가 '영리한 수학 공부법을 찾아라!'는 주제로 강연합니다.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수학을 잘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알려줍니다.
웃기는 수학자로 알려진 이 교수는 그동안 어렵게 느껴지는 수학을 대중에게 쉽게 소개하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주변의 사물과 현상 속에 숨어있는 수학 원리를 소개하는데요.
고고학과 미술, 과학, 영화, 역사, 심지어는 화투까지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교과서 속에 갇힌 수학이 아닌 생활 속에 숨쉬는 수학의 원리를 알려줍니다.
예를들어 종이접기에는 곱셈이 들어있고요.
인터넷뱅킹이나 인터넷 쇼핑을 이용할 때 쓰는 암호는 소인수분해의 원리로 설명이 가능하고, 적분은 심장의 심박출량을 계산하는 데 이용됩니다.
이 교수는 "수학은 사실 놀이나 게임을 하면서 시작된 것들이 많다"며 "확률은 처음에 노름을 하면서 누가 이길까를 따져보다 발전한 것"이라고 설명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수다학'에서 만나보시죠!
[앵커]
종이접기에서부터 인터넷 뱅킹, 심박출량 계산 등 정말 우리 주변 가까운 곳에 수학이 들어있군요.
수학에 관심이 적은 학생들도 이 강연을 들으면, 흥미를 붙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청년창업 런웨이' 소개해주시죠.
[인터뷰]
한민우 포피플 대표가 나와 강연합니다.
한 대표의 아이템인 '포피플 포토티켓'은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한 사진을 통해 관광지나 경기장, 공연장 등 다양한 입장권을 만들어주는 포토티켓 발권 시스템입니다.
한 대표는 "SNS의 발달과 함께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된 시대이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현재를 기록하며 추억하고 싶어 한다"며 "이런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포토티켓 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합니다.
포피플 포토티켓은 비교적 단기간에 놀라운 성과를 거뒀는데요.
성공 이유를 다양한 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낸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포토티켓 사업이 궤도에 오르기까지 어려움도 많았는데요.
한 대표는 두 번의 팀 해체를 겪으며 '사업은 사람이다'라는 확신을 갖게 됐습니다.
한 대표는 예비창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팀에 관한 철학이라고 말합니다.
아이디어를 두고 팀이 모이는 것이 아닌,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생각하는 교집합을 사업화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청년창업 런웨이'에서 만나보시죠.
[앵커]
성공한 사업가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을 다시 확인하게 되네요.
구성원들의 아이디어를 모아 사업을 추진하는 한대표, 함께 일하는 직원들도 재미있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 '사과나무' 소개해주시죠.
[인터뷰]
경희대 응용물리학과 이종수 교수가 나와 '고체 속 또 다른 세상, 신소재 물리학'을 주제로 강연합니다.
'고체물리학'은 원자로 구성된 고체 덩어리에서 일어나는 원자들의 집단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교수는 '고체는 또 다른 사회'라고 설명합니다.
고체 물리학 연구는 전자 공학에서 소자의 개발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신소재과학의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고 트랜지스터나 반도체 기술 분야에 직접적으로 응용되는 학문인데요.
화학과 재료과학의 연구, 새로운 물질 개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몰랐던 고체물리학의 매력과 고체물리학 지식을 활용한 신물질 개발, 그로 인해 바뀌게 될 미래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앵커]
고체덩어리에서 일어나는 원자들의 집단현상, 어떤 것일지 궁금증이 더해지는데요.
경희대 응용물리학과 이종수 교수는 물리학자로는 처음으로 시집을 발간해 주목을 받기도 했죠.
2000년도 월간 '문학세계'에서 신인 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해 여러 작품을 낸 분인데, 시인이자 물리학자인 이 교수의 강연 기대가 많이 됩니다.
다음 주에도 우리가 꼭 봐야할 재미있는 프로그램 소개해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유승민 리포터였습니다.
고맙습니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