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백악관은 오는 7일부터 부과할 예정인 상호관세가 추가적인 협상을 통해 인하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습니다.
관세 여파로 미국 내 고용시장 악화와 노동부 통계국장 해임, 물가 상승 등을 둘러싼 비판이 커지자 합당한 조치였다고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워싱턴에서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새 상호관세율 발효를 사흘 남겨두고 미국은 협상을 통해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사실상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미 무역대표부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는 방송에 나와 아직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국가들의 경우 앞으로 며칠 안에 낮아질 것 같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 미 무역대표부 대표 (CBS 방송) :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우리가 해당 국가와 맺고 있는 무역수지 적자 또는 흑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래서 이들 관세율은 거의 확정된 상태입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협상안과 관세율을 비교해 결정한다며, 더 좋은 조건과 추가 양보를 제시하는 국가가 있다며 여지를 남겼습니다.
2대 교역국으로 관세율을 35%로 높인 캐나다와도 무역조건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며 덧붙였습니다.
캐나다 무역 대표 역시 마크 카니 총리와 트럼프 미 대통령이 며칠 내에 대화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용지표 악화와 트럼프의 고용부 담당국장 경질, 물가 상승 전망 등 관세 정책 여파가 커지자 적극 반박에도 나섰습니다.
미 노동부가 지난 5~6월 고용 지표를 대폭 수정한 데 대해 신뢰성 문제를 지적하며 담당국장 해임 역시 대통령의 인사권이라고 엄호했습니다.
[케빈 해싯 /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 사람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데이터가 신뢰받는 것이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이며, 이러한 수정들이 왜 이토록 신뢰할 수 없는지를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물가 수준이 1.8% 상승하는 효과로 인해 소비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일대 연구팀 분석도 당파적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워싱턴에서 YTN 신윤정입니다.
영상편집 : 정치운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