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늘솔 / 과학뉴스팀 기자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대부분의 현대 전자기기는 배터리에 의존하죠.
이에 따라 작고 오래가는 고성능 배터리를 만들기 위해 더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담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배터리 용량을 크게 늘리면서 안정성도 강화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포항공과대학교와 카이스트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이온 소프트 폴리머'라는 물질인데요.
배터리 내부 구성 요소를 단단히 결합해 에너지 효율을 올린 기술인데요.
핵심은 개발한 물질 안에 이온을 띠는 사슬 구조가 존재하는데, 이 사슬이'이온 클러스터'라는 작은 통로를 만들어 리튬 이온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이온 고속도로'를 만든 겁니다.
이 때문에 이온이 막힘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충전이나 방전 효율이 향상됐다고 말했는데요.
연구진 설명 들어보시죠.
[박수진 /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교수 : 기존 배터리 제조 공정 및 상용화된 배터리 활물질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2.5배 이상의 무게당 부피당 배터리 용량을 높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전기 자동차가 한 번 충전해 35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재를 사용할 경우 7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고용량 전극이 필요한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고체전지 등에도 폭넓게 응용될 수 있어 국내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지금까지 사이언스 이슈 다 모아온 임늘솔 이었습니다.
YTN 사이언스 임늘솔 (sonamu@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