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NASA, 태양계 통과 성간 혜성 발견..."지구엔 위협 없어"

2025년 07월 04일 오후 5:51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태양계를 통과하는 성간 혜성을 최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NASA에 따르면 칠레에 있는 '소행성 충돌 최종 경보시스템'(ATLAS) 관측소에서 지난 1일 새로운 성간 혜성이 관측됐고 궁수자리 방향에서 도착한 이 성간 혜성은 '3I/ATLAS'로 공식 명명됐습니다.

이 성간 혜성은 현재 지구에서 약 6억7천만㎞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NASA는 이 혜성이 지구에 위협을 주지 않고 최소 1.6 천문단위, 약 2억4천만㎞ 거리를 유지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혜성에 대한 첫 보고 이후 전 세계 3곳의 ATLAS 관측소와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대에 있는 시설 아카이브에서도 이전에 관측된 자료가 수집됐다고 NASA는 전했습니다.

이런 '발견 전 관측' 자료는 지난달 14일부터 시작됐고 이후에도 여러 망원경에서 추가 관측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현재 약 4.5천문단위(약 6억7천만㎞) 떨어져 있으며, 오는 10월 30일쯤 태양에 가장 근접할 예정입니다.

이때의 거리는 약 1.4 천문단위(약 2억1천만㎞)로, 화성 궤도 바로 안쪽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 성간 혜성의 크기와 물리적 특성은 전 세계 천문학자들에 의해 조사되고 있습니다.

이 혜성은 오는 9월까지는 지상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겠지만, 그 이후에는 태양에 너무 가까워져 관측이 어렵다가 12월 초쯤 태양의 반대쪽에 나타나면 다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YTN 김잔디 (jandi@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