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YTN 사이언스

검색

미국서 아이폰 333만 원?..."트럼프 관세 시행되면 현실될 수도"

2025년 04월 04일 오전 09:00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되면 아이폰 최상위 모델 가격이 333만 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면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까지 오를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동남아시아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중국에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으며, 이에 따라 중국산 수입품의 관세는 기존 20%에 더해 54%로 올라갔습니다.

월스트리트 로젠블래트 증권은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 기본형의 경우 관세 인상 시 가격이 최대 1천142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맥스의 경우 소비자 가격이 1,599달러에서 43% 오른 2,1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에도 중국산 수입품에 폭넓은 관세를 부과했지만, 애플은 당시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를 받았습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는 "애플이 관세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가격을 최소 30%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애플이 당장 아이폰 가격을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아이폰 판매가 부진한 상황에서 가격이 인상될 경우 판매가 더욱 둔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FRA 리서치의 주식 애널리스트 안젤로 지노는 "애플이 소비자에게 5∼10% 이상 가격을 전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애플은 매년 가격 인상을 계획적으로 진행하는데 아이폰 17 출시 예정인 올가을까지는 주요 가격 인상을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가격이 급등하면 스마트폰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보다 낮은 관세가 부과된 삼성전자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YTN 유투권 (r2kwon@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예측할 수 없는 미래 사용 설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