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인공지능이 화두인데요.
인공지능, 빅데이터와 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합성생물학을 육성하기 위한 법이 세계 최초로 제정됐습니다.
이 법은 지난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됐는데요.
합성생물학은 기존 세포, 생물학적 시스템 등이 가진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자연에 존재하지 않던 특성을 새롭게 설계하고 제작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기존 분자·세포생물학과 합성생물학의 차이점은 기존의 두 분야는 생물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이해하고 작동 원리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반면 합성생물학은 이런 요소들을 변형시키거나 새롭게 추가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즉 생물 시스템을 개조하거나 새로 만들어 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백신 개발부터 기후 위기 대응까지 합성생물학 활용 범위가 빠르게 확장하면서 이 분야는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의 핵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데요.
이에 국가 차원에서 합성생물학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법적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세계에서 첫 번째로 합성생물학 육성법 제정이 된 겁니다.
법안을 살펴보면 정부가 합성생물학 육성 기본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했습니다.
또 합성생물학 육정 정책 수립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 전문기관과 산학연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해 연구개발 거점기관을 지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합성생물학 발전협의회 설치와 운영의 법적 근거와 합성생물학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 근거도 마련했습니다.
또 핵심 인프라인 바이오 파운드리를 구축·운영할 수 있고 합성생물학 연구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시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합성생물학 육성법은 국무회의 의결과 공포를 거쳐 1년의 경과 기간을 둔 뒤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사이언스 이슈 다 모아, 사이다의 이성규입니다.
영상편집 : 황유민
그래픽 : 전휘린
YTN 사이언스 이성규 (sklee95@ytn.co.kr)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