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륜지대사, 중요한 의례로 불리던 혼인.
혼(婚)은 남자가 저녁에 여자를 맞이하러 간다는 뜻이며 인(姻)은 여자가 중매쟁이를 통해 남자를 만나 시집을 보낸다는 의미로 남자와 여자가 부부가 되는 일이다.
가장 오래된 제도 중 하나 혼례.
혼례는 고대에서부터 국가에서 장려하는 제도였으며 당시 매우 중요한 자원이었던 인력으로 노동력과 결합해 가족 구성원을 늘리고, 자손을 번성하는 등 노동력을 확보하는 방법이었다.
이후 신라시대에 이르러 혼례는 제도적 성격을 갖추게 되었다.
비교적 자유로웠던 혼인 풍습은 고려 말, 주자학의 전래로 큰 변화를 맞게 된다.
주자가례에 입각한 혼례 절차가 도입된 것이다.
엄격한 유교 국가였던 조선에 이르러 혼례는 중매쟁이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결혼 당사자의 학풍과 가문을 보는 것은 당시 혼례의 기본이었다.
중매인을 통해 집안 어른들이 혼인을 결정했기에 이를 증빙할만한 문서는 전통 혼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혼례 당사자가 잘 살 수 있도록 행운을 비는 의식들 또한 주요하게 다뤄졌다.
전통 혼례에서는 사주를 주고받는 중요한 의식이 있다.
혼인을 위해 신랑이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자를 신부 집으로 보내게 되는 것.
사주를 볼 때에는 음양오행을 살피게 되는데 이 음양오행은 동양의 근원적 사상 체계다.
혼인 절차에 필요한 문서를 전달할 때 사용한 함과 보자기.
우리 전통 문화에서 보자기는 물건을 포장하는 일 뿐 아니라, 중요한 물건을 저장하는 생활용품이기도 하다.
보자기를 구부리고, 돌리고, 묶는 과정에서 마찰이 생기고 이로 인해 매듭이 만들어지게 된다.
혼례 속에 숨은 음양오행과 보자기의 과학적 비밀을 찾아본다.
[저작권자(c) YTN science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