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들을 위한 수학
수다학
1회
미래 세상을 바꾸는 수학
수학 공부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학부모를 위한 스토리텔링 수학 콘서트 <수다학>
첫 번째 강연자는
2014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의 유치 주역인
박형주 교수님을 모시고
우리 삶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수학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 호기심의 생산성
울타리 앞의 먹이만 보며 무작정 달려가는 목표 지향적인 어미닭!
VS
먹이만 보지 않고 호기심을 갖고 모이에 다가가는 호기심 지향적인 병아리!
목표는 중요하지만 그 하나만 보며 앞으로 달려가는 것이 위험한 일이다.
현상과 사물에 대한 아이들의 호기심을 유지시켜주는
부모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하다.
“세상에 열린 호기심을 갖고 병아리 같은 태도를 가져라!”
✦ 수학자, 인기 직업이 되다!
수학적 사고 훈련과정을 통해 논리적, 창의적 사고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
VS
수학적 전문지식을
현실 문제에 적용해 성취를 이룬 인물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내 200개 직업을 5개 기준에 따라 순위를 매긴 결과
수학자가 2014 최고의 직업으로 뽑혔다.
미래에는 수학을 잘하는 사람이 좋은 직업을 구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 문명의 질문에 수학이 답할 수 있을까?
각 시대별 문명의 질문에 답하면서 발전해 온 수학!
문명의 다양한 질문에 마술처럼 답을 준 수학에 대해 이야기 한다.
첫째, 무엇이 눈에 보기 좋은가?
피라미드와 고대 그리스의 파테온 신전등
황금비를 이용해 건축되었다.
인공물부터 자연현상에 숨어있는 황금비는 미에 대한 실마리를 주었다.
둘째, 무엇이 귀에 듣기 좋은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이던 피타고라스는
음계의 수학이론인 음계이론을 만들었다.
셋째, 자연현상과 사회 현상을 해석할 수 있는가?
구글 검색 과정이나 인터넷 상거래에 꼭 필요한
암호론에도 수학적 알고리즘이 사용되고 있다.
✴
현대 이전에는 예술이나 철학에 관련된 우아한 질문이 많았다면
21세기는 세상이 변화하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그 질문의 폭과 종류가 훨씬 커지고 있다.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우리 아이들은
이러한 질문에 답할 능력을 쌓아가야 한다.
부모들은 논리적인 수학적 사고로
아이들을 미래로부터 준비시켜야 한다!